• KO
  • EN
  • Seoul

    민주주의의 봄

    5.18 민주화운동은 평범한 시민들이 민주주의를 쟁취하기 위해 거리로 나왔던 20세기의 유일한 사례로 기념된다. 1980년 5월18일부터 27일까지 열흘간 지속된 민주화운동은 광주시민의 자발적인 조직화 능력을 보여주었다. 민주화 시위가 한창일 때 처음 발현된 광주시민들의 이러한 능력은 그 후 광주의 민주적 통치와 군대의 재진입을 저지하는 과정에서도 어김없이 발휘되었다. 5월27일 결국 군대가 다시 광주를 장악하게 되었지만, 이 열흘의 시간은 1980년대 대한민국 전역에서 일어난 광범위한 반독재 시위의 도화선이 되었다. 1987년 서울을 비롯한 한국의 다른 도시에서도 시민들의 시위가 일어났고, 이는 직접선거의 도입으로 이어졌다. 그 후 1990년대에는 민주화운동에 대한 특별법이 제정되어 광주학살의 일부 책임자들이 내란 및 폭력교사 등으로 유죄판결을 받았다. 1980년의 5.18 민주화운동과 이 운동이 보여준 시민의 저력은 지속적인 영감의 원천이 되고 있다.

    광주비엔날레재단은 광주에서 일어난 민주화운동의 중요성을 기념하기 위해 광주시가 1995년에 설립한 재단이다. 이후 수십 년간 광주비엔날레는 깊은 상처가 된 5.18을 기억하기 위한 신작들과 전시를 선보여 왔다. ‘민주주의의 봄’은 역대 광주비엔날레 및 특별전, 5.18 민주화운동 기념 전시에서 소개됐던 작품들을 한데 아우른다.

    두 층에 걸쳐 진행되는 이번 전시에서는 1980년 5.18 민주화운동 관련 미술작품들과 기록 자료들이 나란히 소개된다. 3층에서는 당시 한국기자들이 찍은 사진들, 그리고 5.18민주화운동의 중요한 순간들과 오늘날의 한국사회에 주는 울림을 예술로 승화시킨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다. 홍성담의 목판화 작품들(1980년대)과 강연균의 <하늘과 땅 사이 I>(1981) 등 민중미술 작품들은 거리에 흩뿌려진 피를 그대로 묘사함으로써 이 잔혹하고 치열했던 날들의 직접적인 경험을 기록한다. 임민욱의 <네비게이션 아이디>, <X가 A에게>(2014)와 루마니아 작가인 미르세아 수치우의 <먼지에서 먼지로>(2014) 등 1990년대와 2000년대에 광주비엔날레를 통해 제작된 작품들은 다양한 사료를 바탕으로 자신들만의 기록의 언어를 구현한다.

    2층에서는 비평가이자 미술사가인 김진하 큐레이터가 특별 기획한 광주의 역사적 목판화에서부터 영정사진을 통해 기억과 망각에 대해 질문을 던지는 노순택 작가의 사진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록의 언어와 기록 공유의 언어들을 소개한다. 아카이브를 방불케 하는 전시실 중앙에서는 8월 27일에서 11월9일 사이에 신문에 인쇄된 이미지로 구성된 백승우 작가의 <연상기억법>(2018)과 민주화운동에 관한 문헌들을 만나볼 수 있다. 다큐멘터리 <기로에 선 한국>을 통해 신군부의 잔혹함을 서독 전역뿐 아니라 해외 파견 한국인 근로자들에게까지 알린 독일 기자 위르겐 힌츠페터가 소장했던 영상과 사진들도 전시된다. 미국의 팀 셔록 기자가 집대성한 자료들은 미국정부가 한국 군부 독재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보여준다. 5.18 민주화운동에 관한 이 자료들은 대부분 5.18 기록관에서 보관 중이며 일부는 개인 소장품이다.

    <광주이야기>(1996)는 사진작가 오형근이 5.18 민주화운동을 다룬 영화 <꽃잎>(1996)의 촬영현장을 카메라에 담은 스틸 사진작품으로, 두 층에 걸쳐 전시된다. 고문의 기억에서 벗어나려고 몸부림치는 한국의 한 하급 병사에 대한 가상의 영화 포스터 <광주탈출>(2002)도 2층과 3층에서 만나볼 수 있다.

    ‘민주주의의 봄’은 관람객들에게 5.18 민주화운동을 그저 단순한 역사적 순간으로 바라보는데 그치지 않고 5.18 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아 민주주의의 미래를 조망하는 기회로 삼을 것을 제안한다. 미술작품과 역사적 자료들을 나란히 선보이는 이 전시는 역사와 기억의 미묘한 경계를 허물며 민주화운동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제목 민주주의의 봄
    큐레이터 우테 메타 바우어
    보조 큐레이터 캐슬린 딧지그
    일시 2020. 6. 3. – 7. 5. (월요일 휴관)
    관람시간 12:00 – 19:00
    장소 아트 선재 센터
    (03062)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3길 87
    무료 입장  
    {"arrow":"true","pagination":"false","speed":"500","autoplay":"false","autoplay_speed":"3000","loop":"false","slide_to_show":"1","slide_show_ipad_swpr":"1","slide_show_tablet_swpr":"1","slide_show_mobile_swpr":"1","slide_to_column":"1","auto_stop":"false","centermode":"true","space_between":"0","animation_swpr":"slide","height_auto_swiper":"false","direction_swpr":"horizontal","vertical_height":""}
    BIOGRAPHIES OF THE CURATORS
    우테 메타 바우어는 동시대의 미술, 영화, 영상 및 사운드 아트를 상호학제적인 포맷을 중심으로 소개하는 전시기획자다. 2013년부터 현재까지 싱가포르 난양기술대학 현대미술센터 (NTC CCA)의 창립 이사이자 동대학 시각미술디자인 및 미디어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2012년 부터 2013년까지 영국 Royal College of Art의 학장을 역임했으며, 그 전에는 미국 MIT 대학의 건축 및 기힉 학부 부교수로 재직했다. 이 곳에서 예술, 문화 및 기술 (ACT)프로그램 창립 이사 (2009-2012)와 시각미술프로그램의 이사 (2012-2015)를 역임했다. 그녀가 2015 MIT대 시각 예술 감독 폴 하 (Paul Ha)와 공동 기획한 미국 파빌리온의 조안 조나스 (Joan Jonas) 전시는 베니스 비엔날레 구각 별 부문 특별 표창을 수상했다.

    싱가포르 현대미술센터에서 창립이사로 활동하며 그녀는 <알란 세쿨라: 생선 이야기, 계속되다> (2015), <유령과 혼령들: 역사의 그늘> (2017), <더 오셔닉> (2017/2018), <타렉 아투이, 지면: 대지로부터 바다까지> (2018), <시아 아르마자니: 공공을 위한 공간, 민주주의를 위한 공간>, <후기인간 도시: 서식지, 환경들> (2019/2020) 등이 있다.

    바우어는 제3화 베를린 비엔날레 현대미술제 (2004) 의 공동 기획자로 참여했으며, 제11회 카셀 도큐멘타 (2001-2002)에선 총괄 디렉터인 오쿠이 엔위저와 공동 큐레이터로 활동했다. 그녀는 현재 독립큐레이터와 현대미술 분야에 대한 출판 편집자로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최근에 편집자로 출판한 작업 중에는 『동남아시아: 큐레토리얼의 공간』 (2016), 『공간.노동.자본』(2018), 『불가능한 (어반)아시아 지도그리기』(2019)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상해 록번드 미술관, 베르겐 어셈블리, 베르겐과 도큐멘타 커미션 등 해외 유수의 문화위원회의 자문인으로 활약하고 있다.

    캐슬린 딧지그는 싱가포르에서 태어나 활동하고 있는 연구자이자 큐레이터이다. 싱가포르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학자이자 기획자다. 그녀는 다양한 현대적 문화 생산 네트워크와 그 형태를 역사적으로 맥락화하고 탐구하는데 집중해 왔다. 이번 작업에서는 개인, 집단, 기관, 국가 등이 지역, 세계, 그리고 서로에 대해 미친 영향을 연구한다.

    동남아시아를 대상으로 한 딧지그의 예술사적 연구는 여러 국제 학술회의와 강연을 통해 발표되었을 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의 현재> (NUS 출판사, 2017) 에도 게재되었다. 그녀의 글은 또한 <아트포럼>, <아트아젠다> 및 <플래쉬 아트>를 포함한 다양한 매거진과 <Perhaps it is High Time for a Xeno-Architecture to Match> (Sternberg, 2018) 등의 저서에도 실렸다.

    큐레이터로서는 그간 아티스트 레지던시 프로그램 개발, 미술 관련 출판물 발표와 전시, 신예 예술가들의 단독 전시회 개최 등을 통해 경력을 쌓아왔다. offshoreart.co (로빈 린치, 데비 딩과 협업) 등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는 베를린 비엔날레를 포함한 다수의 국제 미술행사에서 소개되었다. 그녀는 또한 바네사 반 스튜디오와 함께 싱가포르 최초의 독립 아트ㆍ디자인 서머스쿨인 External Assessment Summer School을 진행하고 있다.